STI는 소음진동 기술을 혁신해 친환경적이고 고객 중심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콘서트홀에서 규모, 형상 등 건축의 기본조건에서 내장, 의자 등 마감 조건까지가 음향효과에 밀접하게 관계된다. 특히, 실의 용적, 형상은 울림의 양과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음향조건이다. 따라서 기본계획단계부터 참여하여 음향조건의 검토에 착수하는 것이 콘서트홀계획에서 가장 중요하다. 홀의 규모와 성격은 홀의 건설목적, 운영계획에 기초하여 검토한다. 즉, 클래식음악에 대한 지역의 활동상황, 자체기획과 대관사업의 밸런스, 부지의 제약, 예산 등 다각적인 조건에서 검토한다. 클래식음악에도 음악의 종류, 연주의 규모, 악기의종류 등 다양하다.
스튜디오의 음향성능은 프로그램을 만들어 음을 수록하기 위해 필요한 울림과 외부로부터의 소음, 진동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정숙한 환경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스튜디오를 만들기 위해서는 제작하는 프로그램 내용에 적합한 울림을 정하고, 그것을 만족하는 실내 음향설계, 방음, 방진 설계를 한다. 제작 프로그램에 적합한 스튜디오 크기를 기초로 에코 등 음향상의 장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실의 치수, 실의 모양 등을 검토하여 평면형, 단면형을 정한다. 스튜디오의 실용적 및 용도에 따른 최적 잔향시간을 정하고 내장재료의 흡음특성을 고려하여 잔향시간을 계산한다.
수년 전까지는 체육관이 다목적 대형시설의 대표였으나, 공기막 구조의 개발에 따라 구장까지 겸한 대형시설이 탄생하고 있으며 다목적 공간으로 정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