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음향

본문 바로가기
STI Engineering

STI는 소음진동 기술을 혁신해 친환경적이고 고객 중심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공연장

콘서트홀에서 규모, 형상 등 건축의 기본조건에서 내장, 의자 등 마감 조건까지가 음향효과에 밀접하게 관계된다. 특히, 실의 용적, 형상은 울림의 양과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음향조건이다. 따라서 기본계획단계부터 참여하여 음향조건의 검토에 착수하는 것이 콘서트홀계획에서 가장 중요하다. 홀의 규모와 성격은 홀의 건설목적, 운영계획에 기초하여 검토한다. 즉, 클래식음악에 대한 지역의 활동상황, 자체기획과 대관사업의 밸런스, 부지의 제약, 예산 등 다각적인 조건에서 검토한다. 클래식음악에도 음악의 종류, 연주의 규모, 악기의종류 등 다양하다.

스튜디오

스튜디오의 음향성능은 프로그램을 만들어 음을 수록하기 위해 필요한 울림과 외부로부터의 소음, 진동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정숙한 환경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스튜디오를 만들기 위해서는 제작하는 프로그램 내용에 적합한 울림을 정하고, 그것을 만족하는 실내 음향설계, 방음, 방진 설계를 한다. 제작 프로그램에 적합한 스튜디오 크기를 기초로 에코 등 음향상의 장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실의 치수, 실의 모양 등을 검토하여 평면형, 단면형을 정한다. 스튜디오의 실용적 및 용도에 따른 최적 잔향시간을 정하고 내장재료의 흡음특성을 고려하여 잔향시간을 계산한다.

체육관

수년 전까지는 체육관이 다목적 대형시설의 대표였으나, 공기막 구조의 개발에 따라 구장까지 겸한 대형시설이 탄생하고 있으며 다목적 공간으로 정착하고 있다.

※ 음악계획상의요점
  1. 이와 같은 공간에서는 전기음향설비가 주역이다. 음향설계는 그 성능이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음환경을 목표로 해야한다.
  2. 대공간에서는 긴 울림과 특정방향에서의 반사음은 에코가 되어 장해가 된다. 실내음향설계에서는 울림의 억제와 에코의 방지를 주목적으로 해야 한다. 흡음처리는 잔향의 주파수 특성 밸런스를 고려해야 한다.
  3. 공기막 구조는 저음역의 흡음이 크고 일반 체육관에서 아리나 형식의 바닥도 저음을 흡수한다. 따라서, 흡음조정은 주로 중고음역을 대상으로 계획한다.
  4. 이와 같은 시설에서는 음원의 위치 즉, 무대와 객석과의 위치관계가 일정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전기음향설비의 설계는 우선, 하우스 PA로 필요기능을 명확하게 함과 동시에 행사에 사용하는 전기음향설비를 패턴화하며 스피커 시스템 및 배치설계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5. 공조소음의 방지에 대해 전혀 고려하지 않는 시설이 있으나, 소음은 명료도에도 영향이 있으므로 NC-40 정도의 정숙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6. 관객석의 의자를 흡음이 가능한 의자로 하면 울림의 억제는 쉬워진다. 그러나, 일반적인 체육관, 이벤트 스페이스에서는 곤란하다. 이동성 의자로도 약간의 흡음성이 있는 것도 있으므로 의자의 흡음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좋다.

상호명 : (주)에스티아이엔지니어링 | 대표자 : 정왕규 | 사업자번호 : 214-87-46829 본사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42길 82 미광빌딩 4층 공장 :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매바위로 237번길 46-79 대표전화 : 본사 : 02-3474-6463 | 공장 : 031-351-6463 Fax : 본사 : 02-3486-6463 Copyright (C) 에스티아이엔지니어링 all rights reserved.